https://ko.wikipedia.org/wiki/UNIX
UNIX(유닉스)는 교육 및 연구 기관에서 즐겨 사용되는 범용 다중 사용자 방식의 대화식, 시분할처리 시스템용 운영 체제이다.[1] 1970년대 초반 벨 연구소 직원인 켄 톰슨, 데니스 리치 등이 소형 컴퓨터용으로 처음 개발하였다. 오늘날의 유닉스 시스템은 여러 회사들과 비영리 단체들이 이 커널로 활용하여 다양한 운영체제를 개발하고 있다. 유닉스는 처음부터 다양한 시스템 사이에서 서로 이식할 수 있고, 멀티 태스킹과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B%8B%89%EC%8A%A4_%EA%B3%84%EC%97%B4
유닉스 계열(Unix-like)는 '유닉스와 비슷하면서 유닉스가 아니다'는 뜻으로, 유닉스(UNIX)와는 별개의 용어이다. 유닉스가 아님에도 기능적으로 유닉스 규격에 호환되어 유닉스의 대체품으로 쓸 수 있는, 유닉스와 비슷한 운영 체제를 말한다. 대표적으로는 리눅스가 있다. 유닉스계열은 UNIX(유닉스) 글자를 일부 가림처리하는 방식으로 만들어낸 조어 UN*X 또는 *nix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경우 멸시나 조롱의 뜻으로도 쓰인다.
유닉스계열(Unix-like)은 유닉스가 아니라는 뜻임에도, 넓은 의미로는 유닉스 상표를 허가받은 IBM의 z/OS 운영체제마저도 포함한다. 이 용어에 대한 표준이 공식적으로 정의된 바는 없으며, '상표 유닉스'가 유닉스(UNIX)인가 유닉스계열(Unix-like)인가에 대해선 일부 의견차가 있다.
리눅스는 UNIX가 아니기에, 리눅스재단에서도 UNIX 표기는 쓰지 않으며, 소스코드또한 유닉스와 별개이기에 리눅스 운영체제는 항상 Unix-like로 분류된다.
애플의 macOS는 유닉스 운영체제이기에 Unix-like가 아니라 항상 UNIX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