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비스트로스의 말』은 1959년 10월부터 12월까지 프랑스 RTF 채널에서 교수이자 미술평론가인 조르주 샤르보니에와 클로드 레비스트로스가 나눈 대담을 책으로 옮긴 것이다. 레비스트로스가 초기작 《슬픈 열대》만을 발표했던 시기로, 그가 이후 방대한 분량의 저서를 준비하며 지적으로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던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에서 레비스트로스는 사회를 기계장치에 비유하며, 인류학자가 연구하는 사회는 시계처럼 정밀한 구성요소를 갖춘 “차가운 사회”라고 밝힌다. 아울러 문명사회의 인간은 자기가 속한 세계만이 객관적이며 실재적이라는 오만에 빠지기 쉽다고 설명하며, 어떤 대상을 바라볼 때에는 바깥성이라는 한계를 인정하며 내적 원리를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뿐만 아니라 이 책에서 레비스트로스는 인상주의에서 추상주의에 이르기까지 예술사를 폭넓게 다룸으로써 기호 체계이자 상징체계로서의 예술 작품과 그 가치를 심도 있게 분석한다. 낯익고도 낯선 작품들의 창작 배경은 물론 이를 통해 문화가 자연 속에 삽입될 수 있었던 과정, 언어의 기원에 대한 지적 대화를 이어나간다. 또한 그는 문화의 실체로서 언어를 지목한다. 언어야말로 문화의 본질적인 도구이며, 우리가 집단 문화에 동화될 수 있게 하는 특별한 수단이라는 것이다. 레비스트로스는 문화가 자연에 속하는 것이기에, 자연을 연구하는 것이 곧 문화의 근본원리를 모색하는 길임을 밝힌다. 나아가 자연과 문화의 불연속성마저도 인류학자가 탐구해야 할 대상임을 견지한다.

작가들이 강조하고 있는 조어들의 예시에서 드러나듯 캠프는 여러 작가들이 다양한 시민, 기술자 등과 개방적으로 협업하며 미디어의 문턱을 낮추는 참여적 작업을 통해 사회 시스템과 기술 하부구조를 탐문한다. 각기 다른 상황에 처한 사람들과 힘을 합쳐 이들의 에너지로 테크놀로지의 새로운 전환 가능성을 표명하고자 하는 캠프의 작업은 전지구적 신자유주의 자본의 권력에 맞서 지역사회와 수공의 협력으로 공공·공동·공유의 개념을 재설계해 나간다. 백남준아트센터의 전시 제목인 ≪캠프, 미디어의 약속 이후(CAMP After Media Promises)≫도 두문자어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에서 “캠프”는 작가명이자 “진영”이라는 보통 명사의 뜻도 될 수 있다. 작가들은 거대 미디어 인프라가 우리 삶과 가치 체계를 빈틈없이 지배하고 있는 오늘날 네트워크 미디어 환경에서 그 매체 기술들이 약속했던 전망에 개입하여 다른 여지를 만드는 “이후”를 제안한다. 전기와 에너지, 교통과 교역, 텔레비전과 라디오, 영화와 비디오,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미디어”는 우리를 둘러싸고 지탱하는 “환경”이다. 그래서 각종 미디어들이 약속한 세상에 도달했을 때 그 미디어 기술이 독점적이고 권력적인 구조로 작동한다면 그 기술들의 이후를 다르게 모색할 필요가 있다. 스스로 어떤 여지를 도모하는 작은 개인들이 모여 자율적인 진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캠프의 작업이다.